교수진

Professor

전병훈 교수Byonghun Jeon
  • Affiliation & Contact Information

    바이오에너지 & 환경복원연구실(Bioenergy & Environmental Remediation Lab, BERL)
  • E-mail

    bhjeon@hanyang.ac.kr
  • Tel

    02-2220-4642

Homepage

Education

  • [2001] Ph.D., Civil & Environmental Engineering,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
  • [1998] M.S., Civil & Environmental Engineering,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
  • [1996] B.S., Resources Engineering, Hanyang University

Professional Experiences

  • [2019 -] Director of Leaders in Industry-University Cooperation(LINC)
  • [2014 -] Professor, Hanyang University
  • [2018 - 2019] Head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, Hanyang University
  • [2014 - 2014] Professor, Yonsei University, Gangwon
  • [2009 – 2014] Associate Professor, Yonsei University, Gangwon
  • [2011 – 2012] Visiting Scholar,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
  • [2010 – 2011] Head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, Yonsei University, Gangwon
  • [2004 – 2005] Post-doctoral researcher, The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
  • [2002 – 2004] Non-tenure track research scientist, The University of Alabama
  • [2002 – 2002] Post-doctoral researcher,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

Honors & Awards

  • [2023] Highly Cited Researchers(HCR) 선정
  • [2022]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
  • [2019 – 2023] 한양대학교 최상위연구자 4회 선정
  • [2019 – 2024] BRIC 한국을 빛낸 사람들(한빛사) 10회 선정
  • Energies, Pollution, 등 6개 저널 Editorial Board member
  • Algal Research, Bioresource Technology 등 15개 저널 Reviewer

About Lab.

Bioenergy & Environmental Remediation Laboratory

전병훈 교수 연구실의 연구분야는 크게 토양/지하수 오염복원, 하수처리 및 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토양·지하수오염복원분야에서는 다양한 유/무기 오염물질에 의한 지하 환경의 오염, 오염물질의 이동, 토양/지하수와의 화학적 반응,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/전환을 macroscopic/microscopic한 수준에서의 이해를 목표로 연구하고 있습니다. 고체와 액체의 경계면에서 일어나는 물리/화학/생물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다양한 흡착제의 개발 및 응용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, 특히 나노물질의 환경적인 응용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습니다. 또한, 하수처리분야에서는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에 따른 폐수고도처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미세조류를 이용한 하·폐수 내에 존재하는 영양염류 및 미량금속의 제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 최근에는 활성탄(GAC/BAC)을 이용하여 수계의 악취를 유발하는 이취미 물질 중 하나인 geosmin과 2-MIB 흡착연구와 더 나아가 활성탄 (GAC/BAC)과 조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미량오염물질 (emerging contaminants such as pharmaceuticals and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)의 제거 메커니즘과 거동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
바이오에너지 생산분야는 연구실에서 직접 채취 및 분리·배양한 미세조류의 전처리 연구 및 추출된 미세조류 내 탄수화물과 단백질 성분을 이용한 당화/발효 공정을 통해 바이오에너지 (바이오수소 및 바이오알코올) 생산 및 수율 증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또한, 미세조류 바이오 매스의 대량확보를 위해 CO2, 온도, 영양염류(질소, 인, 미량금속이온 등)의 농도, 염도 등의 다양한 배양조건과 phyto-hormone 적용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. 더불어 다양한 응집제를 이용한 미세조류 수확 및 수확된 미세조류의 지방산 분석을 통해 바이오디젤 생산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.